2023.05.04 03:00(한국시간) FED(미국연방준비제도)가 미국의 기준 금리를 25bp 인상하여 현재 최종 금리를 5~5.25%로 결정했습니다.
미국 연준이 베이비스텝(25bp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것은 이미 어느정도 예상되었던 바였죠.
그러면 미국 연준이 기준 금리를 25bp를 인상하게 된 배경과 그에 따른 영향을 통화정책결정문을 기반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FED, 기준 금리 25bp 인상] 금리 인상 배경
"Economic activity expanded at a modest pace in the first quarter. Job gains have been robust in recent months, and the unemployment rate has remained low. Inflation remains elevated."
먼저 FED가 금리 인상을 결정하면서 발표한 통화정책결정문에서 가장 첫 줄에는 1분기에 고용 증가 추세가 여전히 견고하고 실업률이 낮게 유지되면서 경제 활동이 약간의 속도로 확대되며,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다고 평가하며 금리 인상에 대한 배경을 설명하고 있었습니다.
"Tighter credit conditions for households and businesses are likely to weigh on economic activity, hiring, and inflation. The extent of these effects remains uncertain. The Committee remains highly attentive to inflation risks."
또한, 금리 인상을 통한 가계와 기업의 엄격한 신용 조건으로 인한 영향의 정도는 불확실하며 인플레이션에 끼치는 영향을 매우 주의깊게 보고 있다고 했습니다. 이는 미국 연준이 판단하기에는 1분기에 발표된 물가지수나 고용지표들이 둔화되긴 했지만 인플레이션을 충분히 완화시킬 정도의 수치는 아니며, 갈 길이 아직 멀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The Committee seeks to achieve maximum employment and inflation at the rate of 2 percent over the longer run. In support of these goals, the Committee decided to raise the target range for the federal funds rate to 5 to 5-1/4 percent. The Committee will closely monitor incoming information and assess the implications for monetary policy. In determining the extent to which additional policy firming may be appropriate to return inflation to 2 percent over time, the Committee will take into account the cumulative tightening of monetary policy, the lags with which monetary policy affects economic activity and inflation, and economic and financial developments"
미국 연준은 여전히 인플레이션 수치를 2%대로 되돌리는 것이 목표이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이번 FOMC에서 기준 금리를 25bp 인상하는 것이 적절한 판단이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앞으로 들어오는 정보를 철저히 모니터링하면서 통화 정책의 시사점을 평가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그에 따른 추가 정책 강화(추가 금리 인상)가 인플레이션 수치를 2%대로 되돌리는 것에 얼마나 적절한지 고려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는 미국 연준이 앞으로 발표될 경제 지표를 모니터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추가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 것입니다.
"In assessing the appropriate stance of monetary policy, the Committee will continue to monitor the implications of incoming information for the economic outlook. The Committee would be prepared to adjust the stance of monetary policy as appropriate if risks emerge that could impede the attainment of the Committee’s goals. The Committee’s assessments will take into account a wide range of information, including readings on labor market conditions, inflation pressures and inflation expectations, and financial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s."
그러면서도 미국 연준은 앞으로 발표될 경제 지표를 모니터링하며 위원회의 목표를 저해할 수 있는 위험이 나타나면 통화 정책의 입장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고 말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금리 동결(직접 언급 X)도 가능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또한 위원회의 금리 정책 평가는 노동 시장 조건, 인플레이션 압박, 인플레이션 기대 그리고 경제와 국제적 발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광범위한 정보가 고려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FED, 기준 금리 25bp 인상] 영향
1. 미국 은행 시스템 위기?
FED(미국 연준)이 기준 금리를 25bp 인상하면서 가장 크게 영향을 받을 만한 요인은 바로 은행 시스템 위기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FED가 금리를 인상하면서도 언급했던 부분이 미국 은행 시스템은 건실하고 탄탄하다며 예금자들을 안심시키는 발언을 한 것도 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은행 시스템 위기가 다시 재발하지 않을까하는 우려가 담겨있는 것이죠.
"The U.S. banking system is sound and resilient."
지금 현재 상황은 미국의 금융 당국과 대형 은행들이 파산 직전인 은행을 관리하고 인수해가면서 은행 시스템 위기를 지금까지는 잘 관리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러나 걱정이 되는 점은 금리 인상으로 인해 부실 은행이 더욱 많이 늘어난다면 금융 당국이 잘 관리할 수 있을까 의문입니다. 대형 은행들이 파산 위기의 은행들을 인수하는 일이 많아지는 것은 더 넓은 은행 시스템으로 위기가 확산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좋은 징조는 아니기 때문이죠. 앞으로 미국의 은행 시스템이 금리 인상을 어떻게 버텨낼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2. 한국-미국간 금리 차이 사상 최대?
이번 FED가 금리를 인상하면서 한국의 기준 금리가 1.75% 사상 최대치로 벌어졌습니다. 이로 인해 자본 유출 등에 따른 한국의 경제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기준 금리 차이가 발생하면 한국 시장에 있던 자본들이 빠져나가므로 원/달러 환율 상승이 걱정됩니다. 이에 지난달 기준 금리를 동결했던 금통위(금융통화위원회)가 이번에는 금리 인상을 할 것인지 깊은 고민에 빠질 것으로 보입니다.
3. 연내 금리 인하는 없다?
제롬 파월 의장은 올해 금리 인하는 부적절하며 금리를 인하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연준의 금리 인하는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목표치에 도달한 경우나 경제 시스템의 위기가 도래할 경우에야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금리 인상 정책에 따라 나오는 경제 지표들을 잘 확인하고 가계, 기업, 은행의 상태를 세밀하게 모니터링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14) | 2023.05.11 |
---|---|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실업률 발표 (2) | 2023.05.07 |
[미국] JP모건, 퍼스트리퍼블릭 은행 인수 (7) | 2023.05.02 |
[미국] Alphabet, Microsoft 실적 발표 (10) | 2023.04.26 |
[유럽] 유로존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8) | 2023.04.20 |